구글 두유와 성조숙증 연관관계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유와 성조숙증 연관관계

by 도토리와 살구 2024. 7. 19.
반응형
SMALL

 

 

 

 

 

1. 콩의 효능

콩은 7000년 동안 인류가 먹어온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으로 섬유질,단백질, 비타민B, 마그네슘, 칼륨이 풍부한 완전식품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콩은 성질이 평이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어 오장을 보해주고 속을 데워준다 십이 경맥을 도와 위와 장을 따뜻하게 해준다' 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콩은 단백질 35~40%, 지방 15~20%, 탄수화물 30% 가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이 들어가있는 영양식품입니다. 콩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성분에는 100g당 열량 400칼로리, 탄수화물 30.7g, 단백질 36.2g, 지방 17,8g 비타민 ( 비타민 B, 비타민B2, 나이아신 등) 무기질 ( 칼슘, 나트륨, 칼륨 등) 섬유소가 들어가 있습니다. 

 

 

2.두유의 효능 

 

1. 성인병 예방_ 불포화지방산인 두유 지방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켜주고, 혈액의 흐름을 개선시켜주어 꾸준히 섭취하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를 볼 수 있다. 

2.다이어트_ 다량 함유되어있는 단백질과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오랫동안 지속시켜주어 과식을 막아주고, 레시틴 성분이 지방을 녹이는데 도움을 주며 여러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건강한 체중감량을 할 수 있다. 

3.치매예방_레시틴 성분이 뇌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인지능력, 기억력 등의 뇌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어 치매예방에 좋다고한다. 

4.갱년기 증상 개선_ 이소플라본 성분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여성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는 여성들의 갱년기 증상 완화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5.피로회복_ 단백질과 비타민B1, 비타민B2 등이 체내 신진대사를 돕고 에너지 생성을 촉진하여 기력을 보충하고 피로를 풀어주며 근육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고 한다. 

6.뼈건강_ 칼슘이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밀도를 강화시켜주는 작용을 하여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발육이나 골다공증 예방을 해줄 수 있다.

7.피부미용_풍부한 이소플라본 성분이 멜라닌색소 침착을 억제시켜 기미 생성을 막아주고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건강한 피부에 도움을 준다. 

 

 

3. 두유의 부작용

퓨린이라는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통풍을 앓고 계신 분들은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4. 이소플라본 ( Lsoflvone )

콩에 0.1% 정도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젠과 구조적이나 기능적으로 비슷하나 많은 부모님들이 조숙증을 유발하는 에스트로젠과 같은 구조를 가진 성분때문에 성조숙증에 걸릴까 우려하고있다. 이들은 안드로스테네디온 ( Androstenedione ) 과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 을 에스트론과 에스트라디올로 전환하는 효소인 방향화 효소 (Aromatase ) 의 기능을 억제하고, 에스트라디올과 비슷한 구조 에스트로젠 수용체 ( Estrogen Receptor) 에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Cheng 박사팀이 DONALD(DOrtmund Nutritional and Anthropometric Longitudinally Designed) 연구에 참여한 독일 여장아ㅣ 227명 중 사춘기 시작 1~2년 전인 119명을 이소플라본 섭취량에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 (423μg/)이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 (22μg/) 에 비해 가슴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Tonner Stage 2는 약 8개월, 최대 신장 속도에 도달하는 연령은 약 7개월 정도 늦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아이에게 이소플라본 사춘기 연령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시기적인 면을 고려해야하는데 2,920명 여자아이 대상으로 영아기 때의 수유형태 ( 모유 수유군, 분유 수유군, 조기 두유수유군 (4개월 이전), 만기 두유 수유군 ( 4개월 이후 ) 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조기 두유 수유군의 평균 초경나이 12,4세로 연구대상자들의 총 평균 초경나이 12,8세에 비해 빨랐고, 두유 수유를 하지 않았던 아이들에 비해 초경이 빨라질 위험이 25%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단백질 

동물성 단백질 IGF-1 의 분비를 촉진하여 사춘기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DONALD 연구에 참여했던 112명의 5~6세 남녀 아이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동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한 군에서 적게 섭취한 군보다 사춘기 발현 연령, 최대 신장 속도에 이르는 연령, 초경 또는 변성기가 7개월 빠른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결과 3~5세 67명의 백인 여아를 대상으로 했던 연구 3~7세 때 식이를 조사했던 약 3,300명 대상으로 연구했던 ALSPAC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제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발표했던 Cheng 박사 논문으로 봤을때, 식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한 아이들의 산춘기 시작 연령, 최대 신장 속도연령, 초경이나 변성기 등 모든 지표가 약 7개월까지 늦춰질 수 있고, 반면 우유나 유제품, 고기같은 동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아이들은 7개월 정도 빨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6. 성조숙증 진단

의학적으로 8세 이전 여자아이가 유방이나 음모가 발달되거나 9세 이전 남자아이가 고환이 커지기 시작할때 성조숙증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성조숙증  환아 16만6645명으로 5년 전에 비해 74% 증가헀습니다. 성조숙증 여아 비해70~90%에 달할 정도로 여아가 남아보다 7배정도 많았습니다. 

 

 

7.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유전적인 요인, 환경호르몬, 비타민D 결핍, 비만

 

8.콩 ( 두부, 청국장, 두유 등 ) 이 성조숙증에 영향을 주나요? 

2019년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 보건의학센터 마틴 로니스 교수는 콩유아식이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데 우유분유와 동등한 효과를 갖고있으며, 콩 단백질이 생식발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연구소 (2019년) 에서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섭취가 성장기의 뼈 건강 기능성을 강화하며, 다량 섭취할 경우 골질 ( 골밀도 및 구조 파라미터 ) 향샹에 효과가 있으며 성 조숙증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2017년 옥스퍼드 Nutrition Review 에서도 이소플라본이 성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스테로이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저널 (2006) 에서도 피토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작용제 및 길항제 역할을 하는것으로 발표됐습니다. 

 

피토에스트로겐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선택장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간주되며, 체내 에스트로겐 양이 넘치면 조절해주고 모자르면 채워주는 조절제 역할을 합니다. 폐경 후 여성들에게 자연스러운 에스트로겐 대체물로 제공됩니다. 

 

 

 

결론 : 콩으로 만들어진 두유는 성조숙증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반응형